Blog_의학_하니마르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의학 상식_예방접종

의학 상식

by 수로한한의원 2020. 6. 4. 23:26

본문

728x90

예방접종, 언제 해야하는 지 궁금하셨죠?

소아기 때부터 성인기까지 어느 시기에 어떤 예방접종을 해야하는 지,

운동 선수들과 같은 특수군의 사람들에게는 어떤 예방접종을 해야하는지,

예방접종은 어떤게 있는지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예방접종
Copyright ⓒ Pixabay


1. 예방접종

예방접종은 백신(사백신, 생백신) 혹은 항체를 투여하여 인위적으로 면역을 유발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방접종은 능동면역 예방접종과 수동면역 예방접종으로 구분해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능동면역의 예방접종은 백신이나 약화된 독소를 투여하는 것입니다.

약화된 독소가 항체 생성 및 세포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질병에 대한 방어력을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수동면역의 예방접종은 직접적으로 항체를 투여하는 것으로 일시적인 방어효과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결국 능동과 수동은 피접종자의 면역체계의 자발성 여부에 따라서 나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소아 예방접종

기본적인 예방접종의 내용은 위와 같고 소아의 예방접종표를 보고 하나씩 얘기해보겠습니다.

어린이 예방접종
예방접종 도우미. "어린이 예방접종 일람표". https://nip.cdc.go.kr/irgd/introduce.do?MnLv1=1&MnLv2=4. 2020년 6월 5일 접속

1) BCG(결핵주사)

예전에는 불주사라는 이름으로 있던 예방접종입니다.

왼쪽 어깨 위쪽에 흉터가 주사부위 흉터가 남아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사 흉터부위 유무로 연령대를 구분할 수 있죠.

제 기억이 맞다면 90년도부터는 불주사의 흉터가 남아있지 않습니다.

결핵주사(BCG)는 영유아 및 소아에서 뇌막염이나 중증 결핵을 예방할 수 있는 예방접종입니다.

출생 4주 내에 기본접종하고 있으며, 현재의 소아는 경피용주사로 9개의 바늘에 주사액을 발라서 injection 합니다.

그래서 소아들은 3x3 형태의 직사각형 모양의 흔적이 남아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2) DTaP(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D는 Diphtheria로 디프테리아, T는 Tetanus로 파상풍, P는 Pertusis로 백일해를 의미합니다.

DTaP는 생후 2개월, 4개월, 6개월에 각각 1차, 2차, 3차 예방접종을 합니다.

이후 15개월에 1회, 만 4세에 1회 각각 추가 예방접종을 합니다.

추가까지 포함해서 총 5차의 예방접종을 합니다.

기본 5회 접종이 끝나면 11세부터는 10년 주기로 성인형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신을 예방접종합니다.

성인용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신은 TdaP의 백신을 말합니다.

백일해는 소아 5회 접종 후 추가 접종은 없습니다.

3) MMR(유행성이하선염, 홍역, 풍진)

M은 Mumps로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M은 Measles로 홍역, R은 Rubella로 풍진을 의미합니다.

총 2회 접종을 하며, 12개월에 1차, 4세에 2차 예방접종을 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은 흔히 볼거리라고 하며 이하선(턱밑샘)이 붓고 통증이 있는 것을 말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 홍역, 풍진은 모두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은 Paramixovirus, 홍역은 measles virus, 풍진은 Rubella virus입니다.

4) 인플루엔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독감으로 알려진 바이러스입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생백신과 사백신의 2가지 접종을 합니다.

6개월 이후에는 사백신을 매년 접종할 수 있고, 24개월 이후에는 생백신을 매년 접종할 수 있습니다.

5) 미숙아 접종

미숙아로 태어났던 영아나 만성 폐질환이 있는 소아는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Palivizumab 또는 RSV-IGIV를 1회 접종하여야 합니다.

Palivizumab은 근육에 접종하고, RSV-IGIV는 정맥에 접종합니다.

6) 외국 여행

외국 여행 시에는 A형 간염과 말라리아 백신을 투여합니다.

A형 간염 지역에 여행하는 경우에는 출발 전에 백신을 접종합니다.

말라리아 유행지역에 여행하는 경우에는 항말라이아 약제를 도착 1주일 전에 복용하여야 합니다.

Chloroquine 내성이 없는 지역에서는 Chloroquine을 매주 1회 복용합니다.

도착 1주전부터 복용하기 시작하여 체류하는 동안과 돌아온 후 4주까지 복용을 합니다.

Chloroquine 내성이 있는 지역에 여행할 때에는 Mequine을 같은 방법으로 복용합니다.

 

3. 성인 예방접종

다음은 성인 예방접종 권장표를 볼까요?

성인 예방접종
예방접종 도우미. "성인 예방접종 일정표". https://nip.cdc.go.kr/irgd/introduce.do?MnLv1=1&MnLv2=4&MnLv3=2. 2020년 6월 5일 접속

1) 폐렴구균과 인플루엔자는 65세 이상인 경우 국가예방지원사업으로 무료접종 가능한 예방접종입니다.

2) B형 간염 백신항체가 없는 경우에 일정한 주기를 갖고 총 3회 접종합니다.

3) A형 간염 백신의 경우, 39세 이전에 6개월 간격으로 2회 예방접종을 시행하며,

40세 이후에 항체가 없는 경우에 추가로 2회 접종합니다.

4) 대상포진 바이러스60세 이상인 사람인 경우에 1회 예방접종을 권고합니다.

대상포진은 인체의 반쪽에만 띠 모양으로 매우 심한 신경통이 있는 질환입니다.

5) 파상풍(Td/TdaP)10년마다 추가접종해주어야 하는 백신입니다.

Td는 파상풍 백신으로 디프테리아 독소가 혼합되어 있고,

TdaP는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항원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남자의 경우 군대에서 파상풍 백신을 예방접종하기 때문에 군대입대 기준으로 10년 주기를 생각하면 됩니다.

6) HPV 백신은 2가백신(HPV 16, 18)과 4가 백신(HPV 6, 11, 16, 18)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2가 백신과 4가 백신은 각각 25세, 26세까지 접종하도록 제품 허가를 받았습니다.

기본 접종은 성겸험 시작되기 이전인 11-12세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합니다.

4가 백신은 1차 접종 2개월 후에 2차 접종, 6개월 후에 3차 접종을 하고

2가 백신은 1차 접종 1개월 후에 2차 접종, 6개월 후에 3차 접종을 합니다.

 

4. 운동선수의 예방접종

1) 운동선수에게는 '결핵, A형 간염, B형 간염,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폐렴구균,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수두, 수막구균, 일본뇌염, 황열, 장티푸스'의 예방접종을 권고합니다.

2) 수막구균은 아프리카 중부 지방에서 주기적으로 유행하는 질환으로 수막염과 패혈증을 유발합니다.

수막구균 예방접종7세 이상의 모든 연령대에서 처음 접종 시기 후 5년마다 재접종을 해야합니다.

3) 인플루엔자는 반드시 실시해야 할 예방접종으로 권장하는 나라가 대다수입니다.

A형 인플루엔자(H1N1, H3N2)와 B형 인플루엔자(Victoria 또는 Yamagata계통에서 유래)가 혼합된 사백신을 사용합니다.

3가 백신은 A형 인플루엔자 2개와 B형 중 하나를 포함한 것이고,

4가 백신은 A형 인플루엔자 2개와 B형 인플루엔자 2개를 포함한 것입니다.

4) 황열 예방 백신황열 위험지역에 들어가기 최소 10일 전에 1회 접종을 해야합니다.

황열 백신은 보통 면역력이 평생 유지되지만, 국가별로 10년 재접종 요구사항이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5) 장티푸스는 인도, 파키스탄, 동남아시아국가 등에 해당 되는 국가로 출국하는 경우에 근육 주사로 1회 권장됩니다.

장티푸스 위험에 노출되는 시점으로부터 2주 전에 접종이 시행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A형간염, 황열 백신과 동시에 투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예방접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소아의 경우, 성인의 경우, 운동선수의 경우 시기를 잘 맞춰서 예방접종 해주시고,

본인(소아의 경우 부모님이)이 접종 여부를 기록해놓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에 기록이 남아있고, 시기가 되었을 때 연락을 하겠지만요.

시간이 지나면 잊는 경우가 많거든요.

우리 몸은 우리가 잘 지켜야 합니다.

 

 


참고문헌>

[1] 강진한. "새로운 소아 예방접종표에 따른 예방접종 지침의 변화". 소아감염. 2002, 제 9권 제 1호, pp 51-60

[2] 정희진. "우리나라 성인에서 필요한 예방접종". J Korean Med Assoc. 2011, 제 54권 제 12호. pp 1289-1296

[3] 오범조 외 4인. "운동선수들을 위한 예방접종 근거와 추천".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9, 제 37권 제1호 pp 1-10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