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_마스크
마스크, COVID-19(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실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엄청 커졌죠?
'마스크 가진 사람이 정말 부자다', '마스크만 있으면 솔로 탈출할 수 있다'는 말이 우스갯소리로 나올 정도로 매우 귀한 때가 있었어요.
그리고 앞으로도 마스크는 중요해지지라 생각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스크의 종류 및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마스크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나요?
마스크는 크게 '보건용 마스크', '방진 마스크', '면 마스크', '일회용 부직포 마스크' 이렇게 4가지로 분류됩니다.
보건용 마스크는 다시 미세 입자 투과율에 따라 KF80, KF94, KF99로 나뉘며,
방진마스크는 N95, 면 마스크는 면 소재의 마스크, 일회용 부직포 마스크는 부직포 소재의 마스크를 의미합니다.
2. 보건용 마스크에 대해서 더 알고싶어요
보건용 마스크는 KF80, KF94, KF99로 나눠서 생각할 수 있는데, COVID-19(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팔고 있는 공적마스크는 KF80, KF94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먼저, KF는 'Korean Filter'의 줄임말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서 인정하는 등급을 의미합니다.
KF80은 평균 미세입자 크기 0.6um를 80% 이상 필터링 가능한 마스크이고,
KF94는 평균 미세입자 크기 0.4um를 94% 이상 필터링 가능한 마스크를 의미합니다.
기준 | |||
(미세입자크기) 분진포집효율 |
안면부 흡기저항 | 누설률 | |
KF80 | (0.6um) 80% 이상 (염화나트륨 시험) |
60pa 이하 | 25% 이하 |
KF94 | (0.4um) 94% 이상 (염화나트륨 및 파라핀 오일 시험) |
70pa 이하 | 11% 이하 |
KF99 | (0.4um) 99% 이상 (염화나트륨 및 파라핀 오일 시험) |
100pa 이하 | 5% 이하 |
분진포집효율: 공기 흡입 시, 마스크가 먼지를 걸러주는 비율
안면부 흡기저항: 공기 흡입 시, 마스크에 나타나는 저항
누설률: 얼굴과 마스크 틈새로 공기가 새는 비율
즉, KF값이 높을수록 먼지를 걸러주는 비율은 커지고, 호흡시 받는 저항 역시 커집니다. 동시에 공기는 덜 새어나가구요.
KF가 높으면 먼지는 훨씬 잘 걸러주나, 호흡에는 조금 어려움이 있다고 볼 수 있겠지요.
특히 여름에는 KF94가 KF80에 비해 답답함을 느끼는 사람이 많아지게 되는거죠.
현재는 공적마스크로 1,500원에 판매가 되고 있으며 인당 3개의 마스크 구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약국마다 KF80과 KF94를 무직위로 배분받습니다. 5부제 시행중이구요.
3. 방진마스크는 뭔가요?
방진마스크란 분진이 많은 곳에서 진폐증, 규폐증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마스크를 말합니다. 진폐증, 규폐증은 분진으로 인해 폐가 딱딱하게 굳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분진은 미세입자보다 조금 더 작은 크기(0.3um)에 해당하며, 방진마스크의 종류로는 N95가 있습니다.
여기서 'N'은 'Not resistant to oil'로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의 기준에 의해 만들어진 마스크입니다.
N95는 0.3um 입자에 대해 95%이상의 필터링이 가능한 마스크입니다.
참고로, 미국의 기준은 N, R, P 순으로 차단이 많이 되며(oil 차단 가능) 각각 95, 99, 100이 있어 총 9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4. 면 마스크
면 마스크는 천 소재로 되어 있는 마스크로, 보통 방한용으로 많이 쓰는 마스크입니다.
추운 날 따뜻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는 마스크지요.
5. 일회용 부직포 마스크
일회용 부직포 마스크는 부직포로 만들어진 마스크를 의미합니다. 치과에서 사용하는 덴탈마스크도 여기에 속합니다.
COVID-19(코로나 바이러스)가 아직 진행중인데다가, 날씨도 더워지다보니 점점 찾게되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마스크입니다.
여름이 다가오면서 일회용 부직포 마스크의 가격이 약간 올랐다고 하네요.
오늘은 마스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모두들 마스크를 잘 착용하고, 생활속거리두기(20.05.01)를 잘 지켜 COVID-19(코로나바이러스)를 잘 이겨냅시다!
(COVID-19는 이제 endemic이어서 우리 자신이 잘 예방하여야 합니다!)
출처>
소방청. "마스크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총정리". 소방청 공식 블로그, 2020년 3월 26일. blog.naver.com/safeppy/221874777667. 2020년 5월 16일 접속
화장품심사과. "[화장품/의약외품] 보건용 마스크의 기준규격에 대한 가이드라인(민원인 안내서)".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년 08월 08일. www.nifds.go.kr/brd/m_15/view.do?seq=12459. 2020년 5월 16일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