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_의학_하니마르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의학 상식_스마트폰 증후군

질환 상식

by 수로한한의원 2020. 5. 30. 11:14

본문

728x90

오늘은 스마트폰 증후군에 대해서 포스팅해볼까 합니다.

스마트폰 증후군 들어보셨나요?

전화기가 처음 나왔을때 어떻게 그것이 휴대용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터치가 가능할 수 있으며, 인터넷도 사용가능할 수있으리라 생각했었을까요?

이처럼 놀라운 전자기술의 발전과 동시에 새로운 질환이 발생되었죠.

그것이 '스마트폰 증후군'. 스마트폰이 생기면서 파생된 문제이죠.

증후군은 증상의 총칭입니다. 스마트폰으로 인해서 생기는 제반 증상의 모음을 '스마트폰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스마트폰 증후군을 한번 파헤쳐 봅시다!

PHONE
Copyright ⓒ Pixabay


1. 스마트폰 증후군이란?

스마트폰의 과다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신체적, 정신적 증상들의 총칭을 말합니다.

증상에는 손저림증, 목 통증, 어깨 통증, 시력저하, 나르시시즘, 디지털 건망증 등이 있습니다.

스마트폰 증후군이라고 부르며, 스마트폰 과다사용 증후군이라고도 부릅니다.

 

2. 스마트폰 증후군의 구체적인 증상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증후군에 대한 인지정도 및 실태 분석]

2013년 말까지 알려진 스마트폰 증후군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SNS 피로 증후군, 가수면증, 거북목 증후군, 나르시시즘, 근막통증 증후군, 디지털 건망증, 디지털 중독, 손가락 관절염, 손목터널 증후군, 수면 장애, 스마트폰 강박증, 스마트폰 노안, 스크린 불면증, 안구 건조증, 우뇌증후군, 유령진동 증후군, 정보피로증 증후군, 팝콘브레인 증후군, 학습 장애, 항문 질환 등 정말정말 많네요.

이 중 특이한 이름들에 대해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가볍게 읽어보세요.

SNS 피로 증후군은 연일 올라오는,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은 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SNS로 인하여 피로해지는것을 말합니다.

SNS에 관심이 많아지고, 다른 사람들이 궁금해지고,

다른 사람들의 근황을 찾아보는 등의 이유로 피로가 누적되는 것이지요.

거북목 증후군은 일자목 증후군이라고도 하는데요.

사람의 목(경추)은 C curve 형태로 지지해주어야 합니다. 머리를 지지하는데 분산하기 위함이지요.

그러나 스마트폰(텔레비전, 컴퓨터 등의 매체)에 의해서 목이 점점 앞으로 나오게 되고

C curve가 결국 직선형태도 만들어지는 것이지요.

이렇게 되면 특정 부위(C5-T1에 집중적으로 부하가 걸리게 되어서 팔이 저리거나 목이 아픈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를 거북목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현대인의 대부분이 갖고 있는 질환이지요.

디지털 건망증은 디지털기기로 인한 '치매'를 얘기하는데요.

스마트폰의 이용으로 우리는 기억을 회상할 필요가, 계산을 위한 노력의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스마트폰으로 계산이며, 단위 환산이며, 과거 자료에 대한 검색까지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뇌가 해야할 역할이 줄어들어 기억력을 상실하게 되는데, 이를 디지털 건망증(디지털 치매)라고 합니다.

스마트폰 강박증은 정신적 질환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일종의 금단현상을 말합니다.

스마트폰이 본인에게 손에 닿는 거리에 있어야 하고, 언제든지 이용가능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스마트폰이 가까이 있지 않으면 불안하고, 다른 일에 집중이 안되고 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스마트폰으로 친구와 대화를 더 많이 하고 게임도 할 수 있고 하기 때문이지요.

안구 건조증은 디지털 기기의 화려한 영상매체의 이면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일시적으로 집중력이 높아지기는 하지만, 영상 매체를 보는 동안 눈깜빡임 횟수는 현저히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눈깜빡임이 적어지게 되면, 안구에 적당한 수분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디지털 매체(스마트폰)를 보고 있는 동안 계속 눈이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죠.

이로 인하여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유령진동증후군은 스마트폰에서 실제 진동이 울리지 않았지만 울린 것처럼 느끼는 것으로

일종의 정신적 증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팝콘브레인증후군은 이름이 정말 신기하죠?

이름을 정말 증상에 맞게 잘 지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증상입니다.

팝콘은 옥수수콘이 열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POP! 하고 터지면서 튀어오르게 되는데

그 현상을 본따서 만들어진 이름입니다.

즉, 일시적으로 튀어오르는 현상에만 반응하는 것으로,

현실의 변화에는 무감각하게 반응하는 것을 보고 '팝콘브레인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스마트폰 내부의 상황에만 일시적으로 반응할 뿐, 뇌가(사람이) 다른 일들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어지는 것이지요.

재미있는 이름의 질환인 동시에 조금 무서운 질환이기도 하네요.

마지막으로 항문질환은 스마트폰의 이용으로 인해 치질, 변비 등의 항문질환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화장실에서 변을 볼 때 스마트폰을 항상 챙겨갑니다.

그 동안 스마트폰을 보기 위함이지요.

그렇게 스마트폰에 집중하다보니, 변기에 앉아있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고

이것이 변비와 치질 등의 항문질환을 유발하게 되는것입니다.

스마트폰을 가져가는 것도 좋지만, 단시간 안에 변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네요.


이렇게 스마트폰 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3. 그렇다면 치료는?

스마트폰 증후군에 대한 치료는 '마음가짐'이라 생각이 드네요.

스마트폰의 중독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스마트폰 중독은 치료, 해결해야할 '문제'입니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스마트폰의 중독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매우매우 필요합니다.

물론 중독에서 벗어난다는 자체가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요. 많은 노력이 요구됩니다.

스마트폰으로 인한 기질적 변화의 증상들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각 증상에 대해 치료해야 합니다.

스마트폰의 중독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하여 힘냅시다!

화이팅!

 

728x90

'질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정신과 질환_치매  (0) 2020.06.01
의학 상식_하지정맥류  (0) 2020.05.31
의학 상식_아나필락시스 쇼크  (0) 2020.05.29
의학 상식_니코틴 중독  (0) 2020.05.28
내과 질환_류마티스 관절염  (0) 2020.05.28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