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_의학_하니마르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의학 상식_불면(수면장애)

질환 상식

by 수로한한의원 2020. 12. 22. 21:54

본문

728x90

지난번에 수면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수면장애, 불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불면
Copyright ⓒ Pixabay


1. 불면증(수면장애)이란?

불면증은 "잠을 못자는 것"인데요.

공부를 하거나, 업무를 하는 등의 이유로 잠을 잘 수 없는 조건이 아닌 상황에서

주 3회 이상 잠들지 못하는 것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불면증이라 합니다.

 

2. 불면증의 종류

불면증을 구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저는 불면증은 입면장애와 수면유지장애의 2가지로 구분해보았습니다.

입면장애는 수면 초기에 잠들기 어려워하는 것을 말합니다.

잠은 자고 싶은데, 2시간 혹은 그 이상 뒤척이는 것이죠.

보통 근심과 걱정거리가 많을 때 일시적으로 입면장애를 겪어볼 수 있습니다.

수면유지장애는 깊이 잠들지 못하는 것 또는 수면을 지속할 수 없는 것을 말합니다.

수면 중간에 화장실을 가고 싶어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일어나서 수면을 지속할 수 없게 되는 것이죠.

동시에 다시 잠들지 못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민하거나, REM 수면 기간이 길면 꿈을 많이 꾸게 되어 깊이 잠들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수면의 조절 방법

수면 욕구가 가장 높은 시기는 체온이 올라간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떨어졌을 때의 시점입니다.

즉, 이 시기에 인체는 수면을 위한 반응이 나타나는 것이죠.

따라서 이 반응을 이용하는 것으로도 입면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보조방안이 될 수 있습니다.

1) 잠들기 전 "이불을 덮거나 수면 양말 착용"

잠들기 전에 이불을 덮거나 수면 양말을 착용하는 것은 피부 혈관의 확장을 돕습니다.

피부혈관의 확장은 체온의 소실을 촉진시켜 잠들 수 있는 조건을 만들게 됩니다.

2) 잠들기 전 따뜻한 "목욕 혹은 족욕"

잠들기 전의 따뜻한 물로 목욕하는 것과 족욕하는 것 역시 열손실을 높여 수면을 촉진시켜 줍니다.

3) 잠들기 전 "가벼운 운동"

잠들기 전의 가벼운 운동은 체온을 일시적으로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올라간 체온은 다시 떨어지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수면이 촉진되는 것이죠.

다만, 과도한 운동은 각성효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이상의 방법은 입면장애형 불면증에 효과가 있는 방법입니다.

4) "과도한 음주는 삼가야"

음주는 입면에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깊은 잠에 드는 데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과도한 음주가 뇌의 작용을 마비시켜 깊은 잠으로의 수면 단계 조절이 힘들어지기 때문입니다.

5) 잠들기 전 "수분 섭취 억제"

잠들기 전의 수분 섭취는 이뇨작용을 촉진하여 잠을 깨게 만듭니다.

6) "취침 중 적절한 체온 유지"

숙면을 위해서는 체온이 약간 떨어진 상태로 유지가 되어야 합니다.

체온이 올라가거나 더운 환경에 노출이 되면 깨어나게 됩니다.

수면 중 체온 상승은 각성의 신호가 되는 것이죠.

이상은 숙면을 위한 방법입니다.

 

4. 불면증의 약물치료

1) 입면장애에서 활용하는 약물로는 triazolam, temazepam, zolpidem, ramelteon, eszopiclone 등이 있습니다.

triazolam과 temazapam은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BDZ)계 약물로,

GABA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면을 촉진합니다.

GABA는 수면을 촉진하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

참고로 수면을 촉진하는 물질은 GABA 외에도 아데노신, 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등이 있습니다.

zolpidem(졸피뎀)은 Benzodiazepine receptor agonist로 벤조디아제핀이 간접적으로 GABA를 촉진하도록 합니다.

ramelteon은 melatonin receptor agonist로 멜라토닌의 작용을 돕습니다.

멜라토닌 역시 수면 촉진에 관련이 있기 때문이지요.

다만, 미국에서는 활용하나 국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약물이라고 합니다.

멜라토닌은 바나나, 상추에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eszopiclone은 cyclopyrrolone계 약물로 비벤조디아제핀계 약물입니다.

그러나 벤조디아제핀계 약물과 비슷하게 GABA를 촉진하는 약물이지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과는 달리 GABA의 특정 결합부위에만 결합한다는 선택성을 갖는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2) 수면 유지장애의 불면증에 활용하는 약물로는 doxepin, suvorexant, zolpidem, eszopiclone, 등이 있습니다.

doxepin은 항우울제로 불면증의 단기치료제로 쓰이는 약물입니다.

suvorexant은 각성 효과가 있는 orexin의 작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약물입니다.

각성 효과를 억제시키는 작용으로 불면증에 활용하지만, 국내에서는 시판되지 않는 약물입니다.


참고문헌>

[1] 김석주. "불면장애 진단과 치료의 최신 지견".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20
[2] 김혜금, 서완석. "수면과 온도".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16
[3] 채규영. "수면의 생리".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7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