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여드름의 약물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여드름이란? |
여드름의 발생은 피지가 과분비되고, 각질이 과하게 생성되는 과각화증이 원인이 됩니다.
이로인해 피지의 분비 과정이 막혀 모낭내에 남게 되면 여드름이 발생합니다.
여드름 중 붉게 올라오는 염증성 여드름은 피부에 서식하는 Propionibacterium acnes 균이 증식하여 발생하는 것이지요.
피부 상재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는 여드름에서 특히 중요한 균으로 기억해두시면 좋습니다.
세균으로 "acnes"라는 여드름을 영어로 하였을 때의 표기와 같습니다. 즉, 여드름균입니다.
* Propionibacterium acnes(P.acne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 P.acnes)는 그람 양성균이자, 간균입니다.
그람 양성균은 세포벽이 프로테오글리칸이라는 두꺼운 층으로 만들어진 균입니다.
균의 존재 자체가 병원체로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붉어지고, 통증을 발생하게 만드는 것이죠.
그리고 간균은 균의 모양을 얘기한 것인데, Propionibacterium acnes는 막대 모양이라는 의미입니다.
혐기성 균으로 산소가 많이 없는 피부에 서식하여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키지만 심각한 감염을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2. 여드름의 약물 치료 |
여드름의 약물 치료는
"피지 분비 조절, 과각화증의 조절, Propionibacterium acnes 세균 억제"의 방법로 구분하여 시행합니다.
1) 도포제(연고)
도포제로 Retinoids, 항생제, Benzoyl peroxide, Azelaic acid 등이 있습니다.
Retinoids는 각화과정을 조절하여 염증의 발생을 억제하는 약재입니다.
도포제로 트레티노인(tretinoin), 타자로텐(tazarotene), 아다팔렌(adapalane) 등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연고는 밤에만 도포하는데, 피부에 얇게 펴 바르게 되면 가려움, 작열감 등과 같은 자극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Retinoids는 심하지 않은 대부분 여드름에 1차 선택약으로 쓰이고 있으며 1~2달간 꾸준한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항생제는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과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을 활용합니다.
피부 표면의 Propionibacterium acnes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2주 이상 도포하여야 뚜렷하게 효과를 볼 수 있지만, 내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신중해야 합니다.
Benzoyl peroxide는 강력한 항균제로 피부에 흡수되면 benzoic acid와 hydrogen peroxide로 분해됩니다.
하루 1-2회 도포하여 Propionibacterium acnes의 수를 직접적으로 감소시킵니다.
Azelaic acid는 곡물에 존재하는 dicarboxylic acid로 크림 형태로 활용합니다.
부작용이 적고 여드름의 색소 침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2) 경구치료제
경구치료제는 항생제, Retinoids, 호르몬 등이 있습니다.
항생제는 다시 Tetracycline계 약물, Erythromycin으로 나눠서 볼 수 있습니다.
Tetracycline계 약물로는 tetracycline, doxycycline, minocycline 등이 있으며 안전하고 저렴한 약제입니다.
뚜렷한 항염 효과가 있어 복용 후 몇 주 내에 바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작용으로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뼈 성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어 소아나 임산부에게는 금기하여야 합니다.
Erythromycin은 Tetracycline에 부작용이 있거나 Tetracycline을 복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다만 내성균 발생이 높아서 주의를 요합니다.
복용하는 Retinoids는 isotretinoin으로 피지분비와 과각질화, Propionibacterium acnes의 증식 모두를 억제합니다.
다른 치료에 효과가 없거나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에 활용합니다.
Retinoids의 장점은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며, 투여를 중단하더라도 호전된 상태를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효과가 매우 우수하나 부작용 역시 존재하는데, 입술 건조, 피부 건조, 안구 건조 등의 건조 증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약 복용을 하면서 보습제를 항상 지니고 있어야 합니다.
드물기는 하지만 자살이나 우울증과 같은 증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복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호르몬 치료는 경구 피임약이나 항안드로겐 제제를 복용하는 것입니다.
다른 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 활용하며, 단독치료 보다는 다른 약재들과 병용하여 활용합니다.
그러나 그렇게 권하지는 않는 치료라고 볼 수있습니다.
이 방법 외에도 많은 치료들이 존재하니까요.
여드름의 약물치료를 연고과 경구약으로 구분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편에는 여드름의 다른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문헌>
[1] 박귀영, "여드름의 약물치료요법", J Korean Med Assoc, 2018
[2] 서대헌, "여드름의 약물요법", J Korean Med Assoc, 2010
질환 상식_여드름의 관리와 여러 치료(feat. 한의학) (4) | 2024.11.27 |
---|---|
이비인후과 질환_알레르기 비염 (4) | 2024.11.13 |
질환 상식_공황장애 (0) | 2022.06.04 |
의학 상식_새집증후군과 오염물질, 그리고 대응방안 (0) | 2022.05.28 |
의학 상식_말초성 안면신경마비(feat. 구안와사) (0) | 2022.05.1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