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안구건조증에 대해서 얘기해보겠습니다.
렌즈의 활용이 많아지면서, 스마트폰의 활용이 많아지면서,
안구건조증을 겪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눈이 건조해져 통증이 있기도 하고, 뻑뻑함을 느끼기도 하지요.
안구건조증이란 무엇인지, 원인은 무엇인지, 치료는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1. 안구건조증이란?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막이 과도하게 증발하여,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눈에 불쾌감, 이물감, 건조감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안구건조감의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는데
스마트폰과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의 사용 증가와 콘택트 렌즈의 사용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을 면역학적인 이유로 인한 염증질환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먼저 눈물샘의 기능장애가 생겨 눈물의 생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눈물 생성이 줄어들게 되면 눈물의 세정능력이 저하되어, 눈의 표면에 염증성 물질들이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로 인해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참고로 눈물 배출에는 2가지의 경로가 있는데 첫째는 결막에서 눈물샘까지에 이르는 경로입니다.
눈의 깜빡임으로 tear pump가 작용하여 눈물이 배출되기 시작하는 경로인 것이죠.
두번째 경로는 눈물샘에서 비강에 이르는 경로를 말합니다.
이 경로는 눈물의 배출 속도를 결정하는데, 중력과 비루관의 저항에 의해서 속도가 결정됩니다.
위의 두 경로를 통해 눈물을 흘리게 되는 것이지요.
2. 안구건조증의 원인과 증상
안구건조증은 '누액분비량의 감소, 눈물막의 이상, 안구표면(결막, 각막)의 이상, 안검이상, 안검 깜박임 기전의 이상, 전신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즉, 기질적 질환이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도 있고, 기능적 질환이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이지요.
증상으로는 작열감, 이물감, 가려움, 건조감, 눈부심, 충혈, 피로감 등이 있습니다.
결막염, 각막염, 익상편, 안검내반 등의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안구건조증의 분류
안구건조증은 눈물 부족과 증발성의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눈물 부족성 안구건조증은 (주)눈물샘과 덧눈물샘의 장애로 인해 눈물의 분비가 부족하여 생긴 질환을 말합니다.
눈물샘에서 눈물의 분비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2) 증발성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안구표면을 촉촉하게 유지해주어야 하는데, 증발이 과도하여 문제가 생긴 질환입니다.
마이봄샘의 이상, 눈꺼풀 이상, 눈깜빡임 이상, 만성 알레르기, 콘택트렌즈, 굴절 교정, 수술 등이 원인이 됩니다.
마이봄샘(meibomian gland)은 눈꺼풀내에 있는 지방을 배출하는 샘을 말하는데,
이 지방성분이 증발을 억제하는 역할을 해주는 것입니다.
4. 안구건조증의 평가방법
안구건조증의 평가는 BUT 검사와 쉬르머 검사, 2가지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1) BUT(Break Up Time) 검사는 눈물막의 파괴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10초를 기준으로 잡게 되며, 10초 이상인 경우는 정상으로 보고 10초 이하인 경우는 안구건조증의 진단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5초 이하인 경우는 안구건조증으로 볼 수 있구요.
측정 방법은 형광검사지를 결막낭(아래쪽 눈꺼풀 내)에 접촉시킨 후에 검사를 받는 사람에게 수 초간 몇 번 깜빡이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깜빡인 시점에서 형광색이 검은색으로 처음 바뀐 시점까지의 기간을 측정합니다.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이용합니다. BUT의 단위는 시간(초)이 되는 것이지요.
2) 쉬르머검사는 눈물의 분비량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0.5% proparacaine hydrochloride(Alcaine)을 한 방울 점안 후 쉬르머 검사지를 아래 눈꺼풀의 외측 1/3에 접촉합니다.
이 후 검사지의 젖은 부위의 길이(mm)를 측정합니다.
정상인 경우 10mm 이상이고 안구건조증은 5mm 이하로 나타납니다.
주로 눈물 부족성 안구건조증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5. 안구건조증의 치료법
안구건조증의 치료는 인공누액을 이용하여 건조를 막아주는 방법과,
염증발생을 제어하여 눈물샘의 기능을 회복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인공누액점안은 눈에 일시적으로 수분을 보충해주는 것인데, 즉각적으로 효과가 나타납니다.
다만, 대증적인 치료로 일시적인 효과만 있다는 단점이 있지요.
하루에 다회 눈의 수분을 보충합니다.
염증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스테로이드 점안액과 Cyclosporine(Restasis, 점안액)이 있습니다.
이 중 Cyclosporine(Restasis)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고, T cell의 기능을 억제하는 면역억제제입니다.
면역을 억제함으로써 손상된 눈물샘의 기능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이외에도 한방치료들이 있는데, 눈 주위의 혈자리(사백, 찬죽, 동자료 등)와
관련 혈자리(어제, 이명, 합곡 등)에 침 혹은 뜸을 이용하여 치료합니다.
또한 청열, 자음 등의 탕약을 복용하는 방법의 치료를 합니다.
6. 참고 질환
참고해야할 질환으로는 쇼그렌증후군이 있습니다.
쇼그렌증후군은 만성 전신염증 질환으로 입마름과 안구건조증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쇼그렌증후군의 경우는 외분비샘에 림프구가 침윤하여 생긴 질환으로 전신의 건조감이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안구건조증은 쇼그렌증후군의 여러 증상 중 하나인 것입니다.
***** 요약 *****
1.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막이 과도하게 증발하여,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눈에 불쾌감, 이물감, 건조감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2. 안구건조증은 눈물 부족성 안구건조증과 증발성 안구건조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3. 안구건조증의 검사는 BUT 검사와 쉬르머 검사가 있습니다.
4. 안구건조증의 치료는 인공누액검사, 스테로이드 점안액, Cyclosporine(Restasis, 점안액), 한방치료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안구건조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참고 문헌>
[1] 이호찬, 이유림 외 4인. "안구건조증 뜸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19, 제 32권 제 1호. pp 42-58
[2] 이동진 외 4인. " 안구건조증환자 11례의 한양방 병용치료에 대한 임상보고". 한방안이비인후과피부과학회지. 2012, 제 25권 제 2호. pp 61-67
[3] 최은희 외 2인. "안구 건조증 환자의 치험 3례". 대한침구학회지. 2007, 제 24권 제 4호
정형외과 질환_손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0) | 2020.06.05 |
---|---|
부인과 질환_PCOS, 다낭성 난소 증후군 (0) | 2020.06.03 |
신경정신과 질환_치매 (0) | 2020.06.01 |
의학 상식_하지정맥류 (0) | 2020.05.31 |
의학 상식_스마트폰 증후군 (0) | 2020.05.3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