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_의학_하니마르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의학 상식_경구피임약

의학 상식

by 수로한한의원 2020. 6. 13. 09:31

본문

728x90

Copyright ⓒ Pixabay


0. 경구 피임약의 설명에 앞서

경구피임약의 작용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H-P-O축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합니다.

H는 Hypothalamus(시상하부)이고, P는 Pituitary gland(뇌하수체)이며, O는 Ovary(난소)입니다.

시상하부, 뇌하수체, 난소 간의 피드백 작용이 각 부위에서 호르몬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죠.

시상하부에서는 GnRH(Gonadotropin-releasing hormone)를 분비하고, 뇌하수체는 전엽에서 FSH, LH를 분비합니다.

난소에서는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인히빈, 릴랙신을 분비합니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양이 많아지면

음성 피드백(Negative feedback) 기전에 의해GnRH, FSH, LH의 분비가 감소하게 됩니다.

경구피임약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있어 두 호르몬의 양을 인위적으로 늘려주는 것입니다.

 

1. 경구 피임약의 작용기전과 역할

경구 피임약의 작용기전에스트로겐와 프로게스테론의 투여로 GnRH의 분비를 억제하여

FSH, LH의 분비를 저하하게 됩니다.

FSH와 LH의 감소는 난포 성장을 억제하며 에스트로겐을 더 이상 생성하지 못하고, 분비하지도 못합니다.

이는 결국 배란을 억제하여 수정을 막아 피임을 하게 됩니다.

경구피임약배란을 억제하고, 자궁 내막을 위축시켜 수정란의 착상을 방해하는 역할이 있습니다.

또한 난관의 운동성을 저하시키고, 자궁경관점액을 끈끈하게 만들어

정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역할로 피임을 할 수 있습니다.

 

2. 경구피임약의 투여 방법과 시작시기

1) 복합 경구피임제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혼합하여 복용하는 것으로,

3주 복용하고 1주간의 휴식기를 갖습니다.

휴식기 내에는 월경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2) 프로게스테론 단독제제매일 복용하며, 월경 시작 첫 날부터 복용을 시작합니다.

이 때 월경시작일로부터 7일 동안은 임신의 가능성이 있어,

이 기간동안은 콘돔 사용 등과 같은 별도의 피임법을 병행하여야 합니다.

3) 응급피임약성교 후 72시간 내에 12시간 간격으로 2회 복용합니다.

고용량의 복합 호르몬제이므로, 응급 시에만 복용하여야 합니다.

 

3. 복합 경구피임약의 변화

복합 경구피임약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1) 1세대 경구 피임약mestranol과 norethynodrel을 복용하는 것과

ethinyl estradiol과 norethindrone acetate를 복용하는 것, 2가지가 있습니다.

mestranol과 ethinyl estradiol은 에스트로겐제제이고,

norethynodrel과 norethindrone acetate은 프로게스테론제제입니다.

2) 2세대 경구 피임약Ethinyl estradiol과 levonorgestrel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미니보라, 에이리스 등이 여기에 해당되는 약품이죠.

2세대부터는 에스트로겐 제제가 Ethinyl estradiol만 사용하게 됩니다.

3,4세대에서 프로게스테론제제 물질이 바뀌기 시작하죠.

3) 3세대 경구 피임약Ethinyl estradiol과 gestodene으로 구성되어 있고,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약인 머시론, 마이보라, 쎄스콘정 등의 약품이 해당됩니다.

2세대, 3세대는 처방전 없이 구매 가능한 약품들입니다.

4) 4세대 경구 피임약은 Ethinyl estradiol과 drospirenon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세대는 전문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이 꼭 필요합니다.

 

4. 경구피임약의 이점과 부작용

경구 피임약의 이점으로는 자궁내막암, 난소암 예방이 있습니다.

그리고 월경과다에 의한 빈혈, 월경통, 골반염, 자궁외 임신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오심, 구토, 성욕 감퇴, 우울증, 체중 증가 등이 나타날 수가 있죠.

 

5. 복합 경구피임약이 임상 검사에 미치는 영향

한편, 복합 경구피임약을 복용하고 있는 중에 혈액 검사를 하게 되면,

total bilirubin과 Alkaline phosphatase 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ESR과 TIBC는 증가할 수 있습니다.

ESR은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의 줄임말로, 적혈구 침강 속도를 의미합니다.

TIBC는 Total Iron Binding Capacity로 총철결합능을 뜻합니다.

적혈구 침강속도는 적혈구가 혈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한 속도를 뜻하는데,

ESR의 증가는 염증과 빈혈 등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총철결합능은 혈청내에서 철이 결합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빈혈 검사 시에 확인하는 값입니다.

Total bilirubin, Alkaline phosphatase, ESR, TIBC 등은 복용하고 있는 약으로 인한 증가와 감소이므로,

약을 중단하게되면 정상수치로 돌아오게 됩니다.

경구 피임약 복용 시 혈액검사를 하였을 때는, 위의 수치는 참고만 해주시고

복용 중단 후에 다시 한번 혈액검사를 측정하시길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대한산부인과학회, 『부인과학(4판)』 고려의학, 2007

[2] 조경환 외 7인, 『라켈 가정의학(8판)』 엠디월드, 2013

[3] 대한한방부인과학회, 『한방여성의학』 의성당, 2016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