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_의학_하니마르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임신을 하였다면 보건소 방문은 필수!(보건소 활용법)

의학 상식

by 수로한한의원 2021. 5. 20. 22:38

본문

728x90

지난 번에는 임신 시기별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보건소에서 받아볼 수 있는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건소에서 받아볼 수 있는 검사는 산부인과에서도 받아볼 수 있는 검사들이긴 합니다.

따라서 산부인과에서 받는 검사와 중복되는 경우는 간단히 언급만 하고,

산부인과에서는 받을 수 없는 요소(혜택)에 대해서 주로 얘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임신을 했을 때 보건소는 여러 방면의 혜택을 주기 때문에 꼭 방문하셔야 합니다.

Copyright ⓒ Pixabay


1. 임신 15주 이내

임신 15주 이내라면 보건소에서는 "엽산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임신 초기 엽산의 복용은 태아의 신경관의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복용하여야 합니다.

일반 식품에도 있긴 하나, 음식 섭취로는 충분한 엽산을 공급받지 못하기 때문이지요.

엽산은 임신을 계획하기 전 복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보건소에 임신부 등록을 하여야 하는데, 이 때 임신부 배지와 여러 선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임신부 주차 스티커 등록증도 발급받을 수 있어 주차 시 임산부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선물은 각 보건소마다 다른데 손싸개, 타월, 배냇저고리 등을 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이 외에도 임신 전에 혈액 검사, 소변검사, 풍진 항체 검사 등을 받을 수 있는데요.

이는 산부인과에서도 검사하는 항목이라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2. 임신 15주 이후(분만 전까지)

임신 15주 이후에는 보건소에서 "철분제"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임신 16주부터는 철분제를 섭취하여야하는 시기입니다.

철분제는 공복에 먹는 것이 흡수가 잘되지만,

위장 자극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식후에 먹는 것이 좋습니다.

이 외에도 기형아 검사, 임신성 당뇨병 검사, 분만 전 혈액 검사 등을 시행하는데

전부 산부인과에서도 시행하는 검사이므로, 산부인과에서 받았다면 보건소를 방문할 필요는 없습니다.

 

3. 출산 후

출산 후에는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많습니다.

출산 후 12개월까지 유축기를 대여할 수 있으며, 산후 철분제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모유 수유 클리닉, 예비 부모 대상 무료 강좌 등의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고,

육아용품도 대여 받을 수 있습니다.

육아용품은 카시트, 젖병 소독기, 보행기, 수유 쿠션 등 다양하게 있는데

제공되는 품목은 보건소마다 다르기 때문에 해당 보건소에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더불어 국가 예방접종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임신 중보다 출산 후에 더 많이 보건소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은 보건소마다 다르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보건소를 방문하여 확인하셔야 합니다.


임신 중에 보건소에서의 검사는 산부인과에서의 검사와 중복이 됩니다.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검사는 무료이거나 산부인과보다 적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경우나 고위험군의 임산부는 산부인과와 보건소의 방문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