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임신 시기별 산부인과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총 정리된 표를 먼저 보여드릴게요.
1. 첫 검진(10주 이내, 임신 제 1분기) |
임신테스트기를 통해 양성임을 확인한 후에 산부인과에 내원하게 되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 시기가 보통 5~6주로 복부 초음파로는 판단이 조금 어려울 수 있어 질식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5~6주에는 애기집만 확인할 수 있구요.
조금 더 지나서 7~8주 정도가 되면 태아의 형태와 출산예정일을 알아볼 수가 있습니다.
출산일은 태아의 신장을 측정하여 통계치로 나타낸 것으로 출산예정일 전후 7일 정도가 실제 출산일이 됩니다.
한편, 10주 이전에는 주로 산모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간단한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혈액 검사, 소변 검사, 자궁 경부암 검사가 해당됩니다.
소변 검사를 통해 당뇨, 단백뇨, 임신 중독증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변 검사는 초기 20cc 정도의 소변은 버리고 이후 소변을 1/4 정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혈액 검사로는 혈액형을 확인하고 풍진 항체 여부 혹은 간염 항체 여부 등과 같은 질병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궁 경부의 세포도 채취하여 자궁경부암 검사를 시행합니다.
또한 질식 초음파를 통해 태낭의 위치와 심장박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150~170bpm 정도의 심박수가 나타납니다.
2. 임신 11주 ~ 14주(임신 제 1분기) |
임신 11주에서 14주 사이에는 초기 기형을 확인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초기 정밀 초음파 검사, 초기 모체혈청 검사, 융모막 생검을 시행합니다.
이 시기에는 태아가 어느 정도 큰 상태여서 복부초음파를 시행합니다.
복부 초음파를 통해 태아의 목둘레를 측정하여 기형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죠.
보통 목둘레가 3mm 이상이면 기형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또한 모체혈청 검사를 통해 태아의 당단백질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운증후군 여부를 확인해볼 수 있으며,
정밀초음파검사와 모체혈청 검사 시 기형아의 가능성이 나타나면 융모막 생검을 하게 됩니다.
융모막 생검은 검사 도중 태아 조직에 손상을 입힐 수 있어 고위험군이 아니면 시행하지 않는 검사입니다.
보통 임신 시작부터 12주정도까지를 임신 제 1분기라고 하게 됩니다.
3. 임신 15주 ~18주(임신 제 2분기) |
임신 15~18주가 되면 염색체 검사를 통하여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행 검사로는 다중표지자 선별검사, 양수검사, 산전진찰이 해당되네요.
다중표지자 검사는 모체 혈청 트리플 검사, 모체 혈청 쿼드 검사라고도 부릅니다.
이 검사를 통해다운증후군과, 에드워드 증후군, 신경관 결손 기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혈액을 채취하여 태아 당단백질(AFP), 에스트리올, hCG, 인히빈-A 수치를 측정하게 됩니다.
AFP, 에스트리올, hCG 3가지를 확인하는 것을 모체 혈청 트리플 검사라고 하며,
인히빈-A 수치를 포함하게 되면 모체 혈청 쿼드 검사라고 합니다.
추가적으로 임산부의 상태(연령, 몸무게, 질환 여부)를 종합하여 기형을 확인하게 됩니다.
양수검사는 기형을 진단하는 검사로, 다중표지자 선별검사를 통해 기형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고위험군)에 시행합니다.
임산부가 고령인 경우(35세 이상)에 양수검사를 권하기도 합니다.
4. 임신 20 ~ 24주(임신 제 2분기) |
임신 20~24주차는 임신 제 2분기의 막바지에 해당하며, 태아의 문제와 태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정밀 초음파 검사, 산전 진찰, 제대천자 검사를 시행합니다.
초기에 했던 정밀 초음파 검사를 하며, 기형아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 제대천자 검사를 시행합니다.
제대 천자 검사는 20주 이후에 시행하는 검사로 제대혈 검사라고도 합니다.
제대 천자 검사는 염색체 분석 뿐만 아니라 감염, 빈혈, 혈액 이상 등 태아의 전반적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김영아, 박현주, "3545 임신 출산 상식 사전", 길벗, 2020
[2] 삼성출판사 편집부, "임신 출산 육아 대백과", 삼성출판사, 2019
임신을 하였다면 보건소 방문은 필수!(보건소 활용법) (0) | 2021.05.20 |
---|---|
임신 시기별 시행 검사 알아보기(feat. 임신 제 3분기) (0) | 2021.05.18 |
임신 확인 후 첫 산전방문시 확인해야 할 3가지 (0) | 2021.04.23 |
의학 기타_수액요법, 링거의 종류 (0) | 2021.02.15 |
의학 상식_알코올과 음주측정기 (0) | 2020.12.3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