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_의학_하니마르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의학 상식_상비약 리스트(이렇게 준비하자)

의학 상식

by 수로한한의원 2020. 6. 22. 22:02

본문

728x90

오늘은 상비약 리스트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가정에서 상비약을 구비해놓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한지,

내복약과 외용약으로 구분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

구매하실 준비 되셨나요? 시작합니다!

Copyright ⓒ Pixabay


1. 내복약

1) 소화제

음식을 너무 많이 먹거나, 급하게 먹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속이 더부룩한 경우

소화제가 필요합니다. 음식물의 소화를 돕는 약물입니다.

소화제는 약국에서 파는 어떤 것이든 괜찮습니다.

약국의 약사님께 가서 상비약으로 추천해줄 수 있는 소화제가 어떤 것이 있는지 여쭤보고 구매하시면 됩니다.

저는 ‘베아제’를 추천받았네요.

 

2) 해열진통제(소염진통제)

소염진통제의 대표는 ‘이부프로펜’입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입니다.

소염진통의 효과가 있으며 열을 내리는 데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염증을 완화하는 역할(소염)과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진통)가 있는 약물입니다.

다만 열이 있을 때마다 복용하는 것은 주의하셔야 합니다.

인체가 약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기 때문이죠.

약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인체 내에서의 자정작용이 약해집니다.

열은 질환이라기 보다는 인체 내의 자정작용으로 인체 내에서 침입자에 대항하는 방어작용입니다.

즉, 세균 혹은 바이러스와 같은 침입자에 대한 방어작용으로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고열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방어를 위해 더 많은 열이 필요하다는 것인데

이 때는 그대로 두면 위험하기 때문에 해열제를 꼭 복용하여야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 몸의 방어작용에 관여하는 효소들이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40도 이상 넘어가게 되면 단백질 변성으로 효소가 변성되어 방어기능이 상실되거든요.

고열인 상태에서는 방어작용을 할 수 있는 단백질들이 없어진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열이 심한 경우에는 약을 꼭 복용하여야 합니다.

열이 높게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면 복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구요.

해열진통제의 대표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으로 ‘타이레놀’이 있습니다.

소염진통제에 비해 열을 내리는 데 초점이 맞춰있는 약이지요.

소염진통제와 유사하게 진통효과도 있구요.

두통, 감기로 인한 발열, 통증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진해거담제(기침감기약)

기침 감기약으로는 진해거담제인 ‘코푸시럽’을 구매하시면 됩니다.

코푸시럽은 코데인(디하이드로코데인)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진해거담제는 콧물와 가래를 제거하는 약물입니다.

 

4) 항히스타민제

항히스타민제는 급성 알레르기가 발생하였을 때 복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합니다.

두드러기, 발적, 소양감과 같은 알러지 반응이 나타났을 때 복용하거나,

콧물, 재채기와 같은 알러지성 비염에도 복용합니다.

알러지성(알레르기성) 비염은 감기와 구분하여 복용하여야 합니다.

알러지성 비염은 주로 맑은 콧물이 나오며, 코가 막히고, 재채기가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5) 근육이완제

근육이완제는 근육의 과사용 혹은 긴장 시 발생하는 통증에 복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하는 약입니다.

 

2. 외용약

1) 연고

항생제의 대표적인 연고'후시딘'과 '마데카솔'입니다.

두 약품은 목적에 따라 달리 이용되니 2가지 모두 구매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구분은 본 블로그의 첫번째 게시글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후시딘은 주로 감염의 방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마데카솔은 상처의 회복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항바이러스제의 연고로는 '아시클로버'가 있습니다.

주로 헤르페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입니다.

입술이나 성기에 포진(수포)이 발생하였을 때 국소 부위에 연고를 도포합니다.

 

2) 파스(아세틸살리실산)

파스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아세틸 살리실산 계열의 바르는 파스에어로졸 분사 형태의 파스를 모두 구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외용성으로 진통의 효과가 있으며, 근육 염좌나 통증에 다빈도로 활용이 됩니다.

 

3) 포비돈

포비돈요오드 용액으로 살균효과가 있어 소독 목적으로 활용합니다.

우리가 빨간약이라고 하는 것이죠. 요오드(I, 아이오딘)를 활용하므로,

요오드(I, 아이오딘)과 관련된 질환인 갑상선 기능 이상 환자에게는 금기입니다.

 

4) 과산화수소수

과산화수소수도 요오드와 유사한 작용으로 광범위한 살균효과가 있어 소독 목적으로 활용합니다.

정상세포도 손상시키기 때문에 소독 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피 이상의 손상이 생겼을 경우에는 사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상처의 소독에 꼭 필요한 약품입니다.

 

5) 멸균거즈 & 일회용 점착 테이프 & 반창고

멸균거즈와 일회용 점착 테이프는 세트입니다. 반창고는 대일밴드로 유명하죠.

상처부위의 오염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붙입니다.

반창고는 크기별로 여러개 구비해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상처 부위와 크기가 항상 일정하지는 않기 때문이죠.

추가로 여유가 될 경우에는 '아쿠아 밴드'도 구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여름이나 샤워가 필요할 경우, 평상시 물이 잘 닿는 부위에

아쿠아밴드를 이용하면 상처부위에 물이 닿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7) 듀오덤

듀오덤은 피부과에서 많이 사용하는 패치입니다.

습윤밴드로, 상처가 생겼을 때 흉터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해주는 밴드입니다.

 

8) 압박붕대

압박붕대는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합니다.

일시적으로 활용하며, 압박붕대를 이용할 정도의 통증이 발생하면 바로 병원에 가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 구매 리스트 *****

<내복약>

소화제 - 베아제

해열진통제 - 이부프로펜, 타이레놀

진해거담제 - 코푸시럽

항히스타민제

근육이완제

 

<외용약>

항생제 연고 - 마데카솔, 후시딘(4,500원)

항바이러스제 연고 - 아시클로버

파스 - 패치형 파스, 에어로졸 분사형 파스

포비돈(1,000원)

과산화수소수(1,000원)

멸균 거즈(500원) & 반창고(1,000원)

밴드 - 일반 밴드 & 아쿠아 밴드(1,000원 ~2,500원)

듀오덤

압박붕대

 

<기타>

핀셋(1,000원)

가위(1,000원)

면봉

가격은 참고만 해주세요. 2020년 6월 기준이며, 약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상비약은 말 그대로 비상시에 활용하는 약이며,

증상이 심하거나,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꼭! 병원을 가야한다는 사실!!

항상 잊지마세요!^^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