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_의학_하니마르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의학 상식_인플루엔자 바이러스(feat. 정부 대응 전략)

의학 상식

by 수로한한의원 2020. 6. 21. 17:27

본문

728x90

Herpes Simplex Virus와 Human Papiloma Virus에 이어

오늘은 Influenza virus(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독감으로 유명한 바이러스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번 이상씩은 겪어보았을거에요.

이번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A to Z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덤으로 정부의 대응 전략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Copyright ⓒ Pixabay


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독감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입니다.

Orthomyxoviridae family에 속하며

NP(Nucleocapsid Ptn)와 M(Matrix ptn)의 구성에 따라 A형, B형, C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A형은 사람과 동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 타입이며

HA(Hemaglutinine)와 NA(Neuraminidase)의 조합에 따라 H1N1, H2N2, H5N1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HA는 16가지의 아형이 있고, NA는 9가지의 아형이 있습니다. B형과 C형은 사람만 감염시키는 바이러스 타입입니다.

인플루엔자 감염시에는 인후염, 인후통, 고열, 두통, 신체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숙주인 사람과 포식자와 피식자의 관계입니다.

사람의 면역과 항바이러스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돌연변이를 일으켜 진화하는 것이죠.

따라서 바이러스는 항원 소변이와 항원대변이라는 유전자재조합을 하게 됩니다.

항원소변이는 바이러스 결합부위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몇 개만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것이고,

항원대변이는 유전자가 다른 두 바이러스의 재조합으로 급진적인 변이가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바이러스가 진화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계절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항원 소변이로 매년 겨울 유행하고,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항원 대변이가 일어나 발생한 것입니다.

한 예로, H1N 바이러스는 조류에서 돼지와 사람으로 감염시켰고,

이후 돼지 인플루엔자와 사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재조합을 하여 변이가 일어나 사람에게 다시 감염되었습니다.

 

2. 인플루엔자 임상 증상

인플루엔자의 임상 증상은 크게 상부 호흡기 증상, 하부 호흡기 증상, 전신 증상으로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습니다.

상부 호흡기 증상으로 코막힘과 콧물, 인후통과 재채기가 있고,

하부호흡기 증상으로 기침, 호흡곤란, 흉부 불편감 등이 나타납니다.

전신증상으로 발열, 근육통, 피로, 두통 등이 나타납니다.

임상 증상의 지속 기간은 평균적으로 약 7일내이며, 증상이 지속될 경우 폐렴으로의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

 

3. 인플루엔자의 치료

인플루엔자의 치료로 M2 억제제와 NA 억제제와 같은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합니다.

M2 억제제는 경구용으로 복용하며 amantadine(Symmetrel)과 rimantadine(Flumadine)이 있습니다.

amantadine(Symmetrel)과 rimantadine(Flumadine)은

M2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바이러스 외피의 탈피를 방해합니다.

따라서 바이러스가 숙주(사람)의 세포질 내로 방출되는 것을 막습니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특이적인 약물입니다.

NA 억제제zanamivir(Relenza)와 Oseltamivir(Tamiflu)가 있습니다.

zanamivir(Relenza)는 흡입용으로 쓰이고, Oseltamivir(Tamiflu)는 경구용으로 쓰입니다.

NA 억제제는 NA에 결합하여 효소 기능을 억제합니다.

NA 억제제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모두에 억제효과가 있는 약물입니다.

한편, 최근에는 Peramivir(Perami Flu)가 개발되어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플루엔자 치료제를 사용이 증가하여 바이러스의 치료가 높아졌지만,

치료제에 대한 내성이 생겨 다른 항바이러스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바이러스의 NA, HA 관련 RNA 서열이 변화하면서 항바이러스제에 내성을 갖는 돌연변이 바이러스가 생겨난 것이지요.

현재에도 치료제를 만들기 위하여 많은 연구진들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4. 인플루엔자에 대한 국가의 대응전략(2006)

인플루엔자에 대한 국가의 대응 전략으로 5단계가 있습니다.

5단계는 사전 준비단계, 관심단계, 주의 단계, 경계 단계, 심각 단계가 있습니다.

1) 사전 준비단계는 발생 초기 단계로 대응책과 예방을 위한 노력을 시행하는 단계입니다.

각 상황에 따른 행동 계획과 국민의 행동 요령에 대해서 대책을 강구합니다.

또한 국내외 발생 동향을 감시하고, 발생 주변국과 협력을 합니다. 관련 내용을 공유하구요.

감염의 예방을 위한 홍보하고 항바이러스제를 생산하며, 감염 격리병상 시설과 장비를 확충하여 대비를 합니다.

2) 관심단계는 가금류에 의한 감염과 해외 입국자에 의한 감염을 구분하여 대비합니다.

가금류에 의한 조류인플루엔자의 경우 농림부 등의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숙주를 살처분하거나 감시하게 됩니다.

해외에서 사람간 전파로 발생한 경우에는 그 지역의 여행 자제를 권고하고, 예방 대책을 강화하게 됩니다.

3) 주의단계에서는 구체적인 대책을 세우고 시행하는 단계입니다.

전국 보건관계기관에 대책본부를 구성하여 운영하게 되고,

감염 지역과 사람을 집중관리하게 되며,예방백신을 생산하기시작합니다.

해외 입국자에 대해서는 임시 격리하게 되고 유행정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파악하게 됩니다.

4) 경계 단계는 정부 합동 대책본부를 구성하여 24시간 비상체계를 가동하는 단계입니다.

해당지역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며, 발생동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발생 유행지역에 대해서는 여행을 금지하게 됩니다.

5) 심각 단계는 위험의 최고조 단계입니다.

정부합동대책본부를 운영하고 부처별로 비상 계획을 시행합니다.

학교는 임시적으로 휴교하게 되고, 공중생활 자제하도록 하며, 각종 행사의 통제를 생각하게 됩니다.

환자 관리 시스템으로 많은 환자를 관리하게 되고, 국민 행동 요령을 전달합니다.

또한 유언비어의 유포를 차단하여 사회적 공황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이상의 단계를 통하여 인플루엔자가 유행하게 될 때 정부가 바이러스의 위험도에 맞춰 대응하게 됩니다.

 

참고 문헌>

[1] 이창섭. "신종 인플루엔자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2009, 제 77권 부록 4호

[2] 김우주.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개관". 예방의학회지. 2005, 제 38권 제 4호

[3] 박세희 외 3인. "Antiviral Agents Against Influenza Viruses".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2012, Vol. 42, No. 4 pp 284-293

[4] 이덕형, 박기동.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예방의학회지. 2005, 제 38권 제 4호 pp 386-390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