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스포츠 관련 "도핑 약물"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도핑(doping)이란? |
도핑은 운동선수들이 성적 향상을 위하여 약물을 투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약물을 이용한 것으로 스포츠계에서는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2. 도핑 금지 |
도핑의 금지는 상시 금지약물과 경기기간 중 금지 약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상시 약물은 항상 절대 복용해서는 안되는 약물을 말합니다.
후에 보게 될 S1 동화작용제, S2 펩티드호르몬 관련 약물, S3 베타-2 작용제, S4 호르몬제, S5 이뇨제가 해당이 됩니다.
다음으로 경기기간 중 금지하는 약물이 있습니다.
'경기기간 중'은 보통 참가 예정 경기의 전날 오후 11:59분부터 해당 경기, 시료채취가 끝나는 시점까지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 기간은 경기종목이나 국제경기 연맹에 따라 다를 수 있어 개별적으로 재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경기기간 중에 복용하지 않더라도 경기기간 중의 검사에서 검출되지 않아야 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복용을 하는 경우 경기시작 수개월 전에 중단을 해야 합니다.
종류로는 S6 흥분제, S7 마약, S8 카바노이드, S9 글루코코르티코이드가 해당이 됩니다.
3. 금지 약물의 종류(S0 to S5, 상시금지약물) |
1) S0 비승인 약물
비승인 약물은 세계 어디에서도 승인되지 않은 약물을 말합니다.
임상시험 중에 있거나, 화학실험용과 동물용으로 허가받은 약물에 해당합니다.
대부분 암시장에서 판매되거나 인터넷으로 구매하는 보충제들이 분류에 속합니다.
운동 선수들은 특히 이런 경로로의 구매를 조심하여햐 합니다.
2) S1 동화작용제
동화작용제는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라고 불리는 약물입니다.
근육 생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여 근육의 폭발적인 성장을 유도합니다.
보디빌더 선수들이 '스테로이드' 복용을 한 경우가 이 약물에 해당합니다.
동화작용제는 다시 남성호르몬 스테로이드와 기타 동화작용제로 분류하는데,
남성호르몬 스테로이드는 Boldenone, Danazol, Nandrolone, Stanozolol, Testosterone, Trenbolone 등이 있습니다.
기타 동화작용제로는 Clenbuterol, SARMs, Tibolone, Zeranol, Zilpaterol이 있습니다.
동화작용 스테로이드는 남성과 여성에게 각각 생식 관련 부작용을 일으키게 됩니다.
3) S2 펩티드 호르몬, 성장인자 관련 약물
S2 펩티드 호르몬과 성장인자 관련 약물은 EPO, 성장호르몬,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등이 해당이 됩니다.
EPO는 erythropoietin으로 적혈구를 형성하는 약물로 산소 공급을 충분히 확보하여 줍니다.
심폐지구력의 향상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약물에 해당합니다.
성장 호르몬은 융모선 생식선 자극 호르몬과 황체형성호르몬이 해당되며 종류로는 gonadorein, buserelin, triptorelin 등이 있습니다.
부신피질 자극호르몬은 Corticorelin이 있습니다.
4) S3 베타-2 작용제
S3 베타-2 작용제는 기관지를 확장시켜 호흡을 완화시켜주는 약물로 천식환자들이 사용하는 약물입니다.
일반 운동선수들이 썼을 때 호흡이 완화되어 운동 중 산소 공급이 용이해지고, 심폐지구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Salbutamol, Formoterol, Vilaterol, Tratoquinol, Tulobuterol, Salmeterol 등의 약물이 있습니다.
운동선수 중 천식이 있는 경우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약물입니다.
다만, 천식치료용 흡입제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허용 용량이 있습니다.
Salbutamol은 하루 1600um, formoterol은 하루 54um salmeterol은 하루 200um, vilanterol은 하루 25um까지 허용이 됩니다.
또한 금지 약물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천식 치료에 쓰이는 약물로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s, Anticholingergics, Cromones, Theophyllines, Anti-IgE, Anti-IL5 등이 있습니다.
천식치료를 하는 경우에는 이 약물을 활용하면 되겠습니다.
5) S4 호르몬 및 대사변조제
호르몬 및 대사변조제는 호르몬의 작용의 변화시켜주거나 대사작용을 조절하는 약물을 말합니다.
당뇨 치료에 쓰이는 약물이 해당되고, 여성 운동 선수의 경우 유방암, 불임, 배란장애 등의 치료제에 활용하는 약물이 해당됩니다.
항에스트로겐과 대사변조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항에스트로겐류로는 Clomifene, Cyclofenil, Tamoxifen, Toremifene 등의 '-fene' 약물이 있습니다.
대사변조제는 인슐린 및 인슐린 유사 약물, Meldonium, Trimetazidine 등이 있습니다.
6) S5 이뇨제 및 은폐제
이뇨제와 은폐제는 체내의 수분량을 조절하여 경기력을 향상시켜주는 약물입니다.
고혈압, 메니에르병, 요붕증에 쓰이는 치료제를 포함하므로 이 질환을 치료하는 운동선수들이 주의해야 하는 약물입니다.
Furosemide, Hydrochlorothiazide, Spironolactone, Desmopressin 등의 약물이 있습니다.
다만 안과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인 Drospirenone, pamabrom과 치과 국소 마취제인 felypressin의 이용은 예외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기 까지는 상시금지 약물로 운동선수는 절대 복용해서는 안되는 약물입니다.
금지 약물이지만 실제 질환 치료에 쓰이는 약물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운동선수들은 질환 치료 시 꼭 확인해야하는 약물입니다.
질환치료에 부득이하게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사전에 해당 경기 연맹의 절차를 거쳐 승인을 받은 후에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편은 경기기간 중 금지약물의 종류와 도핑 관련 한약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1] 한국도핑방지위원회 보건의료인 도핑방지교육과정
의학 상식_숙취해소 (0) | 2022.05.26 |
---|---|
의학 상식_운동 선수의 금지 약물(feat.doping)_part.2(2/2) (0) | 2022.05.25 |
의학 상식_카페인과 커피, 그리고 건강 (0) | 2021.10.03 |
의학 상식_변비의 완화를 위한 약국 상비약 (0) | 2021.10.02 |
임신 말기 아기의 변화와 산모의 변화_part.5(5/5) (0) | 2021.09.1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