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_의학_하니마르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의학 상식_무기질(mineral)

의학 상식

by 수로한한의원 2020. 7. 25. 21:41

본문

728x90

오늘은 무기질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Copyright ⓒ Pixabay



1. 무기질(mineral)

무기질은 미네랄(mineral)이라고도 하며, 유기물질(탄소, 수소, 산소, 질소)을 제외한 성분을 말합니다.

인체에 필요한 무기질은 약 40여종이 있으며

칼슘(Ca), 칼륨(K), 나트륨(Na), 인(P), 황(S), 염소(Cl), 마그네슘(Mg), 철(Fe), 구리(Cu), 망간(Mn), 아연(Zn), 요오드(I) 등이 있습니다.

무기질은 섭취량에 따라서 100mg 이상 섭취해야하는 다량무기질과,

100mg 미만 섭취해야하는 미량 무기질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무기질은 산-염기의 평형을 조절하고, 체내 수분의 양을 조절하며, 효소의 반응을 보조하는 역할 등을 합니다.

이제, 무기질에 대해서 세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2. 무기질의 종류

1) Na(나트륨)

나트륨은 Sodium으로 소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음식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무기질로 특히 한식, 그 중에서도 국, 찌개류에 가장 많이 있습니다.

체내에서 체액의 양과 삼투압을 조절하는 물질로 신경자극의 전달과 고혈압과도 관계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나트륨은 결핍증보다는 과다증으로 인한 질환이 많습니다.

나트륨 섭취가 많으면 구역질, 설사, 부종, 고혈압, 두근거림 등이 발생합니다.

또한 수분 섭취를 필요로 하는데, 수분 섭취가 부족하면 탈수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트륨의 섭취량은 하루에 2000mg이 필요하나 2013년 기준, 성인은 4000mg을 섭취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칼륨(K)

칼륨은 나트륨과 유사하게 세포 내의 화학 반응에 관여합니다.

또한 세포의 성장과 혈압 유지에도 관여하는 물질입니다.

칼륨은 과일과 채소에 많으며,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와 땅콩 등에도 많습니다.

칼륨이 부족하게 되면 근육 경련과 식욕저하, 심박동이 불규칙해지는 증상 등이 나타납니다.

칼륨의 일일 섭취량은 성인 4700mg입니다.

 

3) 칼슘(Ca)

칼슘은 뼈와 치아에 존재하는 무기질입니다.

혈관의 수축과 이완에 관여하며, 근육의 수축과 신경 자극 전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칼륨, 나트륨과 상호작용을 하여 칼륨 섭취가 많으면 소변으로 칼슘 배설이 감소하고

나트륨 섭취가 많으면 소변으로 칼슘 배설이 증가하게 됩니다.

칼슘은 멸치와 두부, 시금치, 치즈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칼슘이 결핍되면 근육의 수축과 경련이 일어나게 되고(테타니), 골다공증과 구루병과 같은 뼈 관련 질환이 발생합니다.

한편, 칼슘을 과잉섭취하면 신장결석, 구역, 구토, 복통 등이 발생합니다.

칼슘의 영양 권장량은 성장기 청소년 1300mg/d, 성인은 800mg/d입니다.

 

4) 마그네슘(Mg)

마그네슘은 탄수화물과 지방의 대사에 관계있는 물질입니다.

효소를 활성화하며, 세포 신호 전달과 세포 이동을 하는 효소를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한편, 아연과 섬유소를 과량 섭취했을 경우나 단백질을 너무 적게 섭취했을 경우 마그네슘의 결핍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그네슘이 결핍되면 칼슘의 결핍도 동반하게되어 칼슘의 결핍증과 증상이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테타니, 떨림, 근육 경련이 나타나는 것이지요.

또한 저마그네슘 혈증이 나타나 의식장애, 식욕감소, 구토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반대로 마그네슘이 많아지면 설사, 혈압저하, 신장 기능 저하와 같은 과잉증이 나타납니다.

마그네슘의 영양권장량은 영아 30-75mg/d, 청소년 360-410mg/d, 성인 280-350mg/d, 임산부 310-400mg/d입니다.

 

5) 철(Fe)

철은 헤모글로빈의 산소 이동에 관여하는 물질입니다.

육류와 생선류, 계란, 콩, 팥, 굴, 전복, 건포도 등에 철이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철이 결핍되면 철결핍성 빈혈이 발생하여 피로감과 스푼 모양의 손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면역 기능이 떨어지게 되며, 이식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영양 권장량은 성인 남자 10mg/d, 성인 여자 15mg/d, 임산부 30mg/d입니다.

빈혈에 예방에 필수적이며 임산부와 여성에게 특히 많이 필요로 하는 무기질이죠.

 

6) 아연(Zn)

아연은 인체 호르몬의 작용에 필수적인 물질이며, 성장과 발달, 면역 반응, 생식에도 역할을 합니다.

Zinc finger motif에서 단백질의 3차 구조 형성에도 기여를 하는 물질입니다.

굴과 조개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땅콩과 콩, 달걀에도 있습니다.

단백질 섭취를 많이 하지 않거나 채식의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결핍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결핍증은 면역력이 약해져 감염 위험이 증가하게 되며, 수면 장애, 비듬과 탈모, 성장발달 지연 등이 나타납니다.

아연의 영양권장량은 영아 2-3mg/d, 사춘기 8-11mg/d, 성인 12mg/d, 임신 혹은 수유 중일 경우 11-13mg/d입니다.


 

 

참고 문헌>

[1] 윤희상. "비타민과 무기질의 새로운 영양학적 의미".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48, No. 12, 2005

[2] 역자 조경환. "라켈 가정의학". 엠디월드. 2013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